haju__log

Zero Trust : 제로 트러스트 본문

보안 이슈 관련

Zero Trust : 제로 트러스트

haju 2025. 2. 9. 09:02
반응형

✅ 제로트러스트 보안 모델 : ‘신뢰하지 말고 항상 검증하라’라는 원칙에 기반을 둔 보안 접근 방식

 

 

✅ 과거 네트워크 보안과 현재의 차이

  • 전통적인 네트워크 보안은 내부를 신뢰하고, 외부만 방어하는 구조
  • 제로트러스트 모델은 내부와 외부의 모든 트래픽을 신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검증
  • => 최소 권한 원칙을 준수하는 방식으로 보안 강화

만약 기업에 적용한다면?

 

  1. 인증체계 강화
    • 시스템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보안상태가 변경될 때마다, OTP, 지문, 얼굴 인증 등 재인증을 요구해 신원을 검증
  2. 마이크로 세그멘테이션 (네트워크 세분화)
    • 네트워크 내부의 이동을 제어
    • 공격자가 침투를 하더라도 다른 구역으로 넘어가지 못하게 막아 시스템에 대한 접근을 제한해 보안 강화

25년 새해 망분리 사업인 국가망보안체계에서 핵심 개념

  • 국정원 - 국가망보안체계 가이드라인 - 국가망보안체계 기반 제로 트러스트 적용 방법이 별도 소개됨
    • 정보시스템, 업무정보 중요도에 따라 정보시스템 영역을 분히라고 구간마다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비슷한 개념이라
반응형

'보안 이슈 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ASE : 보안 액세스 서비스 에지  (0) 2025.02.07
공급망 보안(Supply Chain Security)  (0) 2025.01.2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