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코테관련 이론 (38)
haju__log
✅ 기본 10진수 형태의 숫자를 다른 진수의 형태로 표현하려면 숫자 앞에 접두어를 붙여주어야 함 2진수 : 0b 8진수 : 0o 16진수 : 0x ✅ bin() : 입력된 정수값을 이진수 값으로 변환하는 함수 ✅ oct() : 입력된 정수값을 8진수 값으로 변환하는 함수 ✅ hex() : 입력된 정수값을 16진수 값으로 변환하는 함수 ✅ format() 활용하여 변환하기 format() 내장 함수를 이용하면 다른 진수의 문자열로 바꿀 때 접두어 제외할 수 있다.
✅ 이진탐색이란 정렬된 배열에서 탐색의 범위를 절반씩 좁혀가며 데이터를 탐색하는 알고리즘 입력 데이터가 많거나 (1,000만 개 이상) 탐색 범위의 크기가 매우 넓을 때 (1,000억 이상) 효과적으로 문제 해결 가능 ✅ 동작 과정 특정 데이터를 찾기 위해 리스트 내 기준점으로 시작 인덱스, 중간 인덱스, 마지막 인덱스를 사용 시작 인덱스와 마지막 인덱스 사이의 중간 값에서 소수점 이하를 버려 중간 인덱스를 정함 중간 인덱스에 해당하는 데이터와 현재 찾으려는 데이터가 같은 지 비교 중간 값이 더 크면 중간 인덱스 이후의 값은 확인하지 않고, 마지막 인덱스를 중간 인덱스로부터 한 칸 앞으로 옮김 (반대로 중간 인덱스 값이 더 작다면 시작 인덱스를 중간 인덱스로부터 한 칸 뒤로 옮김) 중간 인덱스의 값과 찾..
✅ 순차탐색이란 리스트 내 특정 데이터를 찾기 위해 앞에서부터 데이터를 차례대로 탐색하는 알고리즘 ✅ 동작 과정 리스트의 맨 앞 데이터와 찾으려는 데이터가 같은 지 탐색 데이터가 같지 않다면 다음 데이터와 찾으려는 데이터가 같은 지 탐색 같은 데이터를 찾기 전까지 2의 과정을 반복 ✅ 리스트 내 데이터가 아무리 많더라도 시간만 충분하다면 반드시 원하는 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. ✅ 구현 def sq_search(n,target,arr): for i in range(n): if arr[i]==target: return i+1 arr = ['apple','banana','grape','peach','lemon'] n= len(arr) target = arr[2] print("{}번째에서 데이터 탐색 종료."...